다이아토닉 하모니카가 작고 휴대간편하고 싸고 해서 좋아하시는분들 많죠. 근데 아시다시피 다이아토닉을 연주하려면 벤딩기술을 구사하지 않으면 그림의 떡이잖아요. 다이아토닉 벤딩 중에서도 저음부의 '파'와 '라' 음 만드는게 젤 힘들지 않습니까. 이런 문제를 인식했는지 국산 하모니카 회사 미화에서 아주 신박한 다이아토닉 제품을 내 놨네요 이 글은 돈받고 쓰는 글이 아닙니다. 우연히 이 제품을 접하게 됐는데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연습용으로 휘뚜루마뚜루 사용하기가 너무 좋아서 소개하지 않을 수 없군요. 크로매틱 하모니카와 동일한 음계로 되어 있어서 크로매틱 연습하기가 아주 좋아요. 물론 값이 싸니까 소리가 좋은건 아닙니다. 그대신 부담없이 아무때나 윈드세이버 예열같은거 신경안쓰고 연주할수 있어서 좋습니다. 음계..
하모니카를 처음 시작하려는 분들께 크게 도움 될만한 책이 최근 출간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는 크로매틱 하모니카를 배우려 해도 적당한 안내책자 하나 변변히 없었던게 사실입니다. 이런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역시 하모니카 마니아인 '해롤드 박'님이 국내외의 여러 하모니카 연주자들의 경험담과 노하우들을 한데 엮어 '크로매틱 하모니카와 나'라는 책을 발간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이 책에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하모니카 연주자들의 수기 당선작이 실려 있어서 연주자들이 처음 하모니카에 입문하면서 겪은 황당한 실수나 어려움들을 재미있게 간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본 블로그의 '아연지 하모니카'도 한 파트를 집필해서 하모니카에 관한 기초지식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모니카 제이 등 많은 전문 연주자들의..
이 글은 크로매틱 하모니카를 처음 시작했던 4년전 기록인데 참고용으로 다시 올립니다. *** 오랫동안 가지고 싶어했던 물건이 집으로 배달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만큼 더디 가는 시간도 없죠. 또 물건이 도착해서 그 포장을 개봉하는 순간만큼 짜릿한 시간도 없을겁니다. ㅋㅋㅋ 암튼 독일제 호너 크로매틱 멜로우 톤 하모니카가 예상보다 조금 빨리 도착했습니다. 값이 비싸다보니 성능은 둘째치고 공연히 케이스마저 좀더 고급진 것 같이 느껴집니다. 똑같은 플라스틱 케이스인데 말이죠. 하모니카 몸체의 크기는 미화 엑설런트 48보다 약간 작습니다. 길이가 2~3밀리, 너비가 5밀리 정도 작아서 핸디하고 귀여운 느낌은 납니다. 손에 쥐어보니 역시 미화보다 약간 가볍고 손에 완전히 쏙 들어옵니다. 틸레망 할아버지 사인이 음각된..
하모니카에 입문하거나 초보단계를 좀 벗어나 좀더 소리와 성능이 좋은 하모니카를 찾게 될 때 어떤걸 골라야 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이런 분들은 wiki.ezvid.com이 지난해 발표한 '2019년도 세계 10대 명품 하모니카' 리스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베스트 하모니카 10위권에는 호너, 자이델 등 독일제품이 5개, 스즈키의 일본제품이 2개, 스완과 이스트탑 등 중국산이 2개, 헤링의 브라질산이 1개씩 랭크되었습니다. 한국의 미화하모니카도 훌륭한데 세계랭킹에 오르지 못한건 홍보가 부족한 때문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아래 표의 제품특징과 가격 그리고 각 제품의 소리를 모아놓은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 (세계 10대 베스트 크로매틱 하모니카) 순위 하모니카 명 사진 특징 및 가..
전편의 [하모니카 종류]에서 살짝 언급했듯이 크로매틱 하모니카는 반음을 낼 수 있도록 설계하다보니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 인한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크로매틱 하모니카를 연주하기 전에 꼭 알아 둬야 할 유의사항들도 있습니다. 1. 크로매틱 하모니카의 구조 크로매틱 하모니카의 구조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크로매틱 하모니카의 외관과 음정 배열표를 다시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겉만 보면 크로매틱 하모니카의 취구부(입술에 닿는 부분)도 다이아토닉처럼 한개의 구멍(홀)이 일렬로 늘어서 있습니다. 하지만, 분해해서 보면, 생선가시처럼 생긴 내부의 뼈대(콤, Comb이라고 함, 보통 나무로 만들어지며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으로도 제작됨)는 아래 위 두개의 칸으로 갈라져 있습니다. 음정 배열표의 1번 홀을 예..
하모니카는 다이아토닉, 크로매틱, 트레몰로 등 3종이 큰 줄기를 이루고 있으며, 기타 특수한 기능의 하모니카도 있습니다. 1. 다이아토닉 하모니카 (Diatonic Harmonica) 다이아토닉 하모니카는 아래 사진처럼 10cm 정도의 작은 몸체에 보통 10개의 구멍(Hole)이 있고 구멍마다 위 아래에 리드(Reed)가 1개씩 20개 붙어 있습니다. 한 구멍에서 불면 '도', 마시면 '레' 등 두개의 음이 나므로 구멍이 10개뿐이지만 거의 3옥타브에 해당하는 음역대가 가능합니다. 비록 작고 앙증맞지만, 몇몇 세계적인 전문가들은 이 작은 하모니카로 '바흐'의 어려운 클래식 곡들까지 소화해 냅니다. 하모니카가 처음 개발된 당시의 형태와 구조는 바로 오늘날의 다이아토닉 하모니카와 동일합니다. 다이아토닉(Di..
바쁜 일상 속에 각박하게만 살다가 나이가 들고 시간여유가 좀 생기면 악기 하나 배워볼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이런 분들 가장 먼저 무슨 악기가 좋을까 하는 고민에 부닥치게 되는데요 저는 하모니카를 강추합니다. 특히 나이드신 분들에게는요. 대부분의 악기들이 우선 비쌉니다. 베우기도 상당히 까다로와서 엄청난 레슨비까지 들여야 하구요 게다가 소리가 너무 커서 연습할 공간도 마땅치 않습니다. 이런 문제점들을 가볍게 즈려밟고 혼자서라도 당장 시작할 수 있는게 바로 하모니카죠. 그렇다고 너무 쉽게 보진 마시구요. 이 세상에 쉬운건 아무 것도 없습니다. *** 결정하시기 전에 우선 다음 글을 읽어 보세요. 음악 웹진 Cmuse가 '하모니카를 배워야하는 10가지 이유'라는 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한 것이 있는데 공..
하모니카는 수평으로 연결된 여러개의 짧은 관에 금속성 '리드'(Reed, 떨림판)를 긴 것부터 짧은 것 순으로 하나씩 붙여놓고 입으로 불거나 들여 마시면서 소리를 내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관악기입니다. 1) 1821년 독일 소년 부쉬만의 '아우라'가 효시 하모니카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습니다. 1821년 16세의 독일 소년, '크리스찬 프리드리히 부쉬만(C. F. Buschmann)이 요즘의 하모니카 모양으로 된 악기, '아우라'(Aura)를 발명했다고 특허 등록한 것이 하모니카의 효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쉬만'은 원래 피아노를 조율하는데 사용할 간단한 조율기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만들면서 계속 개량하다 보니 새로운 악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아우라'는 21개의 구멍에 피아노 건반 순서대로 반음이..
크로매틱 하모니카를 배우기 시작한지 벌써 몇년차가 되었습니다. 첨엔 심심할 때마다 트레몰로 하모니카를 삑삑 부는 걸로 무료함을 달래곤 했는데 어느날 문득 하모니카를 나의 취미이자 개인기로 발전시킬 수는 없는걸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악보 읽는 것도 배우고 트레몰로 외에도 하모니카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죠. 크로매틱 하모니카에 꽂히게 되었습니다. 트레몰로는 장난감같은 이미지인데다 반음을 낼 수 없다는 결정적 단점이 있고 다이아토닉은 반음과 일부 음정을 테크닉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한데 반해 크로매틱은 이론상으로는 거의 피아노 수준으로 모든 음악의 완벽한 연주가 가능한데다 음색이 전혀 하모니카 같지 않고 트럼펫이나 플룻, 색소폰, 오보에 같은 고급 악기와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선희
- 김수철
- Hohner_CX12
- 김광석
- 김동현
- 이소라
- 평균율
- Hohner_Super64
- 으뜸음
- 계명악보
- hohner_cx12_jazz
- 음악용어사전
- 크로매틱하모니카
- 바흐음악
- 하모니카
- 하모니카배우기
- 조용필
- 양희은
- 하모니카기초
- 하모니카계명악보
- 계명
- 하모니카연주
- 음악기초
- 클래식감상
- Seydel_Saxony
- 녹턴
- 오페라
- 크로매틱
- 이문세
- 나훈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