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크로매틱 하모니카를
배우기 시작한지
벌써 몇년차가 되었습니다.
첨엔
심심할 때마다
트레몰로 하모니카를
삑삑 부는 걸로
무료함을 달래곤 했는데
어느날 문득
하모니카를 나의 취미이자 개인기로
발전시킬 수는 없는걸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악보 읽는 것도 배우고
트레몰로 외에도
하모니카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죠.
크로매틱 하모니카에 꽂히게 되었습니다.
트레몰로는 장난감같은 이미지인데다
반음을 낼 수 없다는 결정적 단점이 있고
다이아토닉은
반음과 일부 음정을 테크닉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한데 반해
크로매틱은
이론상으로는
거의 피아노 수준으로
모든 음악의 완벽한 연주가 가능한데다
음색이
전혀 하모니카 같지 않고
트럼펫이나 플룻, 색소폰, 오보에 같은
고급 악기와 비슷한 소리가
나오는데 반하게 되었죠.
***
그동안
사 모은 크로매틱 하모니카만도
7~8개에 달하는데
그중 몇 개는
고장난 것도 있죠.
학교종이 땡땡땡,
반짝반짝 작은 별 등등
음악학원에서 시키는 것처럼
기초부터 다지지 않고
바로
고 난이도의 K-pop을 가지고
연습하기 시작했습니다.
ㅎㅎㅎ
하나의 곡을
음정 박자 어느정도 소화해 내면
스스로 너무도 대견했던 시절이었죠.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연습을 많이 할수록
좀더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없을까
좀더 멋진 애드립을 칠 수 없을까 등등
점점 더
어렵게 느껴지는
하모니카 연주.
그동안
홀로 독학하면서
터득한 하모니카에 관한
수많은 이야기들과 노하우,
애창곡의 계명 악보 등을
이 블로그를 통해
여러분과 공유하려고 합니다.
기대해 주세요.
반응형
'하모니카 배우기 > 하모니카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 세계 10대 베스트 크로매틱 하모니카' - 음색 비교 (0) | 2020.05.30 |
---|---|
크로매틱 하모니카의 구조와 특징, 윈드세이버와 유의사항 (2) | 2020.05.18 |
하모니카의 종류 - 다이아토닉, 크로매틱, 트레몰로의 특징 (2) | 2020.05.15 |
[Cmuse] 하모니카를 배워야 하는 10가지 이유 - 하모니카 좋은 점 (0) | 2020.05.12 |
하모니카의 역사 - 언제 만들어졌고 어떻게 발전했나 (0) | 2020.05.11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크로매틱
- 김동현
- 계명악보
- 크로매틱하모니카
- 양희은
- 하모니카기초
- 이소라
- 으뜸음
- hohner_cx12_jazz
- 하모니카계명악보
- 평균율
- 음악용어사전
- 이문세
- 하모니카
- 바흐음악
- 김광석
- 하모니카연주
- 나훈아
- 하모니카배우기
- 이선희
- 조용필
- 계명
- 김수철
- 음악기초
- Hohner_CX12
- 오페라
- Seydel_Saxony
- 녹턴
- Hohner_Super64
- 클래식감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