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MRfov/btqDVU9HDjP/QYS8Vau632eg5UeK5lhcN1/img.jpg)
1) 조표는 으뜸음에 따라 결정된다 우리는 지난 회에서 조표에 따라 달라지는 으뜸음의 위치를 간단히 찾아내는 방법을 배운 바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조표가 먼저 결정되고 그 조표에 따라 으뜸음이 바뀌는 것으로 잘못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지난 회 말미에 강조했듯이 으뜸음을 결정하는 것은 조표가 아니라, 으뜸음이 먼저 결정된 다음 조표가 정해지는 것입니다.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2) 미와 파, 시와 도 사이가 반음인 것이 조표 생성의 원인이다. 피아노 건반을 다시 한번 살펴 보면, 잘 아시다시피, 흰 건반과 바로 다음 흰 건반 사이에는 검정 건반이 하나씩 끼어 있습니다. 첫 시간에 배운 바와 같이 흰 건반과 검정 건반 사이의 주파수 간격은 일정합니다. 흰 건반과 검정 건반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Z4Tb/btqDVdu4Ask/NAt3MGYAjg6rQa3z9pqNi1/img.jpg)
음악을 하면 반드시 악보를 읽을 수 있어야 할까요. 전설적인 4인조 그룹 '비틀즈'도 악보를 볼 수 있는 멤버는 하나도 없었다고 하네요. 오로지 기타 코드 하나만 가지고 곡을 만들고 연주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그러니 취미로 노래를 좀 부르거나 작은 악기 하나 연주하는 사람들에게 별도의 악보나 음악이론 공부가 딱히 필요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하모니카를 연습하다 보니 몇가지는 꼭 알아둬야 하는게 있더라구요. C키 하모니카를 가지고 스케일 연주법으로 원키대로 부른다면 계명을 다장조로 환산할 필요가 없겠지만 하모니카의 스케일 연주 자체가 워낙 어렵다보니 대부분의 곡은 원래 악보의 계명을 다장조 계명으로 바꿔줘야 하죠. 따라서 조표가 있는 악보에서 계명을 읽을 때 으뜸음(도)의 위치가 어떻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kG5m/btqDWVG1JYE/uHoEnw8ks6RJVIVou85kLK/img.jpg)
1) 도, 레, 미, 파..... 음정 간의 신비로운 질서 피아노에는 모두 88개의 건반이 있는데, 각 건반의 음마다 진동수, 즉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왼쪽은 적은 진동수, 즉 낮은 음이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진동수가 많아지고 높은 음이 됩니다. 각 건반 사이의 주파수 간격은 매우 규칙적인데요 어떤 규칙을 가지고 있을까요? 2) 한 옥타브의 주파수는 2배씩 증가 아래 피아노 건반 그림에서 보시듯이 모든 건반에는 A0에서 C8까지 고유의 이름이 붙여져 있습니다. ‘도’를 의미하는 C가 1에서 8까지 있으니 피아노에는 7개의 옥타브가 있는 셈입니다. 옥타브라 함은 ‘도’에서 ‘도’까지의 간격을 말하는데 , 한 옥타브의 주파수를 비교해 보면, C1의 주파수는 32.703Hz, C2의 주파수는 65..
- Total
- Today
- Yesterday
- 조용필
- 바흐음악
- Seydel_Saxony
- 오페라
- 하모니카계명악보
- 이선희
- 크로매틱
- hohner_cx12_jazz
- 양희은
- 김광석
- 하모니카배우기
- 크로매틱하모니카
- 이소라
- 김수철
- 하모니카연주
- 계명
- 클래식감상
- 계명악보
- Hohner_Super64
- 하모니카
- 음악기초
- 평균율
- 음악용어사전
- 녹턴
- 하모니카기초
- Hohner_CX12
- 김동현
- 이문세
- 으뜸음
- 나훈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