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IB2pj/btqD2bWB4mn/sJBm83i7JA7jPpArWigLgK/img.jpg)
그의 이름 앞에 붙어있는 JK는 무슨 뜻일까. JK김동욱은 그룹사운드 템페스트의 맴버였던 아버지를 따라 어렸을적 캐나다로 이민을 간다. 거기서 대학교를 다니고 언더그라운드 가수생활을 하다가 2001년 영화 '조폭마누라'의 OST로 처음 한국에 이름을 알린다. JK는 그의 세례명인 'Joachim(요아킴)과 Kim의 약자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오늘 연습할 '미련한 사랑'은 2002년 드라마 '위기의 남자' OST에 삽입된 곡이다. 왜 미련한 사랑일까. 사랑은 원래 미련한 짓이다. 왜냐하면 사랑에 깊이 빠지면 인간의 똑똑한 계산능력이 마비되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사람에겐 손해를 봐도 아까운 느낌이 들지 않으니 어찌 미련한 짓이 아니겠는가. 또 한가지는 조금씩 빠져 들어서 나중엔 결코 헤어 나올 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wMkfy/btqDWUB8lwo/TtMN6n5AYHLbSgZmPLqfE0/img.jpg)
크로매틱 하모니카를 배우기 시작한지 벌써 몇년차가 되었습니다. 첨엔 심심할 때마다 트레몰로 하모니카를 삑삑 부는 걸로 무료함을 달래곤 했는데 어느날 문득 하모니카를 나의 취미이자 개인기로 발전시킬 수는 없는걸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악보 읽는 것도 배우고 트레몰로 외에도 하모니카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죠. 크로매틱 하모니카에 꽂히게 되었습니다. 트레몰로는 장난감같은 이미지인데다 반음을 낼 수 없다는 결정적 단점이 있고 다이아토닉은 반음과 일부 음정을 테크닉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한데 반해 크로매틱은 이론상으로는 거의 피아노 수준으로 모든 음악의 완벽한 연주가 가능한데다 음색이 전혀 하모니카 같지 않고 트럼펫이나 플룻, 색소폰, 오보에 같은 고급 악기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aTPS/btqDVeHFgh0/j8iZK26HUz9XhopEsFvfmk/img.jpg)
세기의 명곡이죠. 베사메무쵸 (Besame mucho) 멕시코의 여성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콘수엘로 벨라스케스가 1940년 발표한 노래입니다. 스페인어로 Besar가 '키스하다'란 동사이고 Besa는 명령형. 그러니까 Besame mucho는 '나에게 키스를 많이 해 줘요'란 뜻입니다. 크로매틱 하모니카 Hohner CX12, A key로 커버해 봤습니다. *** *** 콘수엘로 베라스케스 작사 작곡 (베사메무쵸 계명 악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19AxZ/btqDY1THyNh/DqWL9V0a8w3TEkWbEAiWGK/img.jpg)
'바람의 노래' 하모니캣 아연지의 크로매틱 하모니카 도전 첫번째 곡은 가왕 조용필이 1997년 발표한 제16집 앨범 수록곡입니다. 가사가 완전 명시입니다. 언젠간 바람의 노래를 들을 수 있을까. 꽃이 지는 이유를 내 작은 지혜로는 알 수가 없네. 실패와 고뇌의 시간을 피할 수 없지만 그 해답이 사랑이라면 난 세상 모든 것을 사랑하겠네. 크로매틱 하모니카 호너 수퍼64 C key로 커버해 봤습니다. *** 김순곤 작사 김정욱 작곡 (바람의 노래 계명 악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kG5m/btqDWVG1JYE/uHoEnw8ks6RJVIVou85kLK/img.jpg)
1) 도, 레, 미, 파..... 음정 간의 신비로운 질서 피아노에는 모두 88개의 건반이 있는데, 각 건반의 음마다 진동수, 즉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왼쪽은 적은 진동수, 즉 낮은 음이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진동수가 많아지고 높은 음이 됩니다. 각 건반 사이의 주파수 간격은 매우 규칙적인데요 어떤 규칙을 가지고 있을까요? 2) 한 옥타브의 주파수는 2배씩 증가 아래 피아노 건반 그림에서 보시듯이 모든 건반에는 A0에서 C8까지 고유의 이름이 붙여져 있습니다. ‘도’를 의미하는 C가 1에서 8까지 있으니 피아노에는 7개의 옥타브가 있는 셈입니다. 옥타브라 함은 ‘도’에서 ‘도’까지의 간격을 말하는데 , 한 옥타브의 주파수를 비교해 보면, C1의 주파수는 32.703Hz, C2의 주파수는 65..
- Total
- Today
- Yesterday
- 하모니카계명악보
- Hohner_Super64
- 오페라
- 조용필
- 김광석
- 녹턴
- 하모니카기초
- hohner_cx12_jazz
- 하모니카연주
- 계명
- 이소라
- 양희은
- Seydel_Saxony
- 하모니카
- 이선희
- 크로매틱
- 김동현
- 평균율
- 하모니카배우기
- 바흐음악
- 김수철
- 이문세
- Hohner_CX12
- 음악용어사전
- 으뜸음
- 클래식감상
- 음악기초
- 계명악보
- 나훈아
- 크로매틱하모니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