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른 페이지는 아래 색인을 클릭하세요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마)
※ 모바일에서 잘 안보이는 경우는 PC 버전으로 보시면 좋습니다. | |||
한글 |
그림 |
원어, 한자 |
설명 |
마가디스 |
![]() |
Magadis |
옛 그리스의 현악기. 현을 손가락으로 뜯어서 연주하는 하프와 비슷한 악기 |
마드리갈 |
|
Madrigal |
이탈리아 성악곡의 형태 |
마드리갈 코메디 |
![]() |
Madrigal comedy |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에 걸쳐 이탈리아에서 작곡된 오락성 합창 음악. |
마디 | ![]() |
Measure |
보표는 동일한 길이의 박자 수마다 한번씩 구분짓게 되는데 그 최소단위를 '마디'라고 하며, 마디와 마디 사이를 구분하는 선을 세로줄이라고 한다. |
마라카스 |
![]() |
Maracas |
타악기의 일종. 마라카(maraca)의 열매를 말려 그 안에 있는 씨앗으로 소리를 내도록 한 악기. |
마르슈 |
|
Marche |
군대행진곡 |
마르치아 |
|
marcia |
행진곡 풍으로 |
마르카토 |
|
marcato |
강조된, 똑똑하게 힘을 주어 |
마림바 |
![]() |
Marimba |
각기 다른 길이와 두께의 나무판들로 구성된 아프리카 및 중남미의 실로폰. 아래 쪽으로 연결된 파이프가 울림통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임. |
마스크 |
![]() |
Mask, |
16-17세기 유럽의 왕실과 귀족을 위한 가면극. 신화나 우화를 소재로 시, 성악, 기악, 춤, 연기 등을 결합한 형태임. |
마에스토소 |
|
maestoso |
장엄하게. 위엄있게, 당당하게 |
마에스트로 |
|
Maestro |
실내악 지휘자. |
마에스트로 |
|
Maestro |
지휘자. 왕이 개인적으로 소유한 교회의 음악 감독. |
마에스트로 |
|
Maestro |
성악 교사 또는 성악의 명인. |
마에스트로 |
|
Maestro |
18세기에 콘서트와 오페라를 지휘하던 음악가인데 동시에 그자신은 하프시코드(쳄발로)를 연주하였다. |
마우스피스 |
![]() |
Mouthpiece |
관악기에서 연주자의 입술이 닿는 부분. 프랑스어로 Embouchure (앙부슈어)라고도 함. |
마이너 |
|
min. |
단조(minor)의 약자. |
마이크로 톤 |
|
Microtone |
미분음. 반음보다 작은 음정. 온음 을 몇 분할하느냐에 따라서 3분음, 4분음, 6분음 등으로 불린다. |
마주르카 |
![]() |
Mazurka |
다양한 빠르기로 연주되는 3/4 또는 3/8박자로 된 폴란드의 춤곡. 쇼팽에 의해서 콘서트 뮤직으로 소개 되었다. 쇼팽은 약 55곡의 마주르카를 작곡했다. |
마지막 노래 네곡 |
|
Four Last Songs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 Strauss)가 1948년 작곡한 자신의 성악곡에 붙인 제목. |
마치 |
|
March |
행진곡. 원래 군대와 같은 대규모 집단을 질서 있게 행진하도록 만들어진 음악. |
마티나타 |
|
Mattinata |
'마티나타'는 이탈리아어로 '아침', 이탈리아 작곡가 '레온카발로'가 1904년 작곡하여 '카루소'에게 헌정한 이후 전세계 모든 테너들의 애창곡이 되었음. 우리나라에선 '아침의 노래'라고 불리고 있음. |
막 |
|
Membrane |
악기는 크게 막(membrane)과 판(plate)으로 이루어져 있다. 막은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로 그 가장자리가 팽팽하게 당겨져 있어 소리를 낸다. |
만가(네니아) |
|
Nenia |
만가(挽歌). 상여를 메고 가는 사람이 부르는 장송곡. 브람스가 1881년 실러(Schiller)의 텍스트를 합창곡으로 작곡한 Nenia (독일어 제목 Nänie) 가 유명함. |
만돌린 |
![]() |
Mandolin |
류트(Lute)와 비슷한 발현악기로 1650년경 만들어진 후 17~18세기에 전성기를 맞았고 오늘날까지 사용됨. |
말라게냐 |
|
Malaguena |
남쪽 스페인 지방의 기타 반주가 있는 3박자의 민속음악. |
말러, |
![]() |
Mahler, |
오스트리아의 보헤미아 지방(현 체크) 출신의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 많은 교향곡과 가곡을 발표. 가곡 중에는 '대지의 노래'가 유명하며, 교향곡 중에는 1천명이 연주한 8번 '천인교향곡'이 유명함. |
말린코니아 |
|
malinconia |
우울(melancholy) |
맘보 |
![]() |
Mambo |
쿠바의 흑인들에게서 시작된 라틴아메리카의 사교 댄스 음악. 4/4 혹은 2/4박자의 빠른 템포가 특징이다. |
망슈 |
![]() |
Manche |
바이올린 등 현악기의 네크(neck) 부분을 말함 |
매스큘린 |
|
Masculine |
남성 종지. 악절이나 곡의 마지막 음이 강한 박자에서 끝맺는 것. |
멀티메트릭 |
|
Multimeric |
악곡 중에 박자가 빈번하게 바뀌는 것. |
멀티포니 |
|
Multiphony |
두 개 이상의 독립된 성부에 의해 구성되는 악곡양식. |
멀티플 |
|
Multiple |
다조성. 서로 다른 조성을 함께 사용하여 작곡하는 현대 음악의 기법. 20세기 들어 널리 쓰인 작곡법으로, 새로운 화음을 얻는 것이 특색 |
메노 |
|
meno |
보다 적은. 예: meno mosso 좀 더 느리게. 작곡가들은 가끔 mosso를 생략하고 poco meno를 사용하여 meno mosso와 같은 뜻을 나타냄 |
메들리 |
|
Medley |
접속곡. 여러 노래의 일부를 조금씩 접속하여 한 곡으로 만든 곡. |
메사 디 보체 |
|
messa |
성악에서 길게 유지되는 음에 점진적인 크레센도와 디크레센도를 주는 것. |
메소드 |
|
Method |
연주 기술. 연주법을 서술한 저서. |
메스토 |
|
mesto |
슬픈. 우울한. |
메시앙, 올리버 |
![]() |
Messiaen, Oliver (1908~1992) |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오르간곡 '그리스도의 강탄(降誕)',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곡', 피아노곡 '아멘의 환영' '아기 예수님을 바라보는 20개의 시선', 가곡집 '아라위, 사랑과 죽음의 노래 12곡', 교향곡 1번 투랑갈릴라, 합창곡 '5개의 르샹' 등 실험적인 작품을 작곡하고, 새소리를 악보에 채택한 피아노의 오케스트라 '새들의 눈뜸', 관현악곡 '이국의 새들', '피아노곡 새의 카탈로그' 등을 작곡 |
메이저 |
|
Major |
장조. [비교]minor 단조 |
메이저 인터벌 |
|
Major interval |
장음정 |
메이저 코드 |
|
Major chord |
장 화음. |
메자 보체 |
|
mezza voce |
음량을 억제하여 여린 음으로 노래하는 것을 말함. |
메자, 메조 |
|
mezza, mezzo |
절반(half). mezzo piano [메조 피아노] 중간 여리기로. mezzo soprano [메조 소프라노] 낮은 소프라노. |
메조 소프라노 |
|
mezzo- |
소프라노와 콘트랄토의 중간 음역에 속하는 여성의 목소리. |
메조 콘트랄토 |
|
mezzo- |
메조 소프라노보다 조금 낮은 음역의 여성 목소리. |
메조 포르테 |
|
mezzo |
조금 세게. 약자는 mf. 피아노와 포르테의 중간. |
메조 피아노 |
|
mezzo piano |
조금여리게. 약자는 mp. 피아노와 메조포르테의 중간 |
메조, 메자 |
|
mezzo, mezza |
절반(half). mezzo piano [메조 피아노] 중간 여리기로. mezzo soprano [메조 소프라노] 낮은 소프라노. |
메줘 |
![]() |
Measure |
보표상의 마디 |
메타 |
|
meta |
절반, 중간(이탈리아어) |
메타모포제 |
|
Metamophose |
주제구나 악구가 자유롭게 변화하면서 전개되는 것. |
메트로놈 |
![]() |
Metronome |
곡의 정확한 속도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 보표상에는 빠르기를 M.M ♩=96 등과 같이 표시하는데, 여기서 M.M은 메트로놈을 만든 '멜첼'의 메트로놈을 기준으로 한 속도라는 뜻임. |
멘델스존, |
![]() |
Mendelssohn, |
독일 출신의 초기 낭만주의 작곡가. 그는 오페라, 교향곡, 협주곡 등 우아한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그중 바이올린 협주곡은 베토벤·브람스의 곡과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손꼽힌다. 그는 바흐의 음악을 발굴연구해 마태수난곡을 연주함으로써 잊혀졌던 바흐 음악을 부활시킨음악적 공로가 큼. 특히 부수음악, '한 여름밤의 꿈'은 결혼행진곡을 포함하고 있어서 매우 유명하다. |
멘슈랄 노테이션 |
|
Mensural notation |
1250년 프랑코 드 콜 로뉴 (Franco de Cologne)가 체계화시켜서 1960년까지 사용되었던 음악 기보법. |
멜로드라마 |
|
Melodrama |
(1)배경음악을 깔고 이야기를 하는 드라마의 기법. (2)감상적인 통속극. (3)이탈리아어로 melodramma는 단순히 오페라를 뜻하기도 함 |
멜로디 |
|
Melody |
가락, 음악적 음들의 연속. |
멜로디온 |
![]() |
멜로디온은 나라마다 뜻이 다르게 쓰인다. 미국에서는 19세기 작음 풍금을 멜로디온이라 불렀고, 유럽에선 작은 아코디온을 멜로디온이라고 하며 우리나라에선 입으로 불고 건반을 눌러 소리내는 멜로디카를 멜로디온이라고 부른다. |
|
멜로스 |
|
Melos |
영어 melody의 어원이 되는 고대 그리스 말 |
멜리스마 |
|
melisma |
성악곡에서 한 개의 음절에 부여된 음들을 지칭하는 용어. 카덴차의 성격을 띄는 화려한 성악 구절을 뜻하기도 한다. |
멤브라노폰즈 |
![]() |
Membranophones |
공명통에 팽팽히 조여진 막이나 가죽을 떨리게 하여 소리 내는 악기임 |
모노디 |
|
monody |
그리스어의 monos(단일의)와 ode(노래)의 합성어. 단선의 독창 형식 노래를 뜻함. 문학에서는 누군가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를 의미함. |
모데라토 |
|
moderato |
보통빠르기로 |
모듈레이션 |
|
modulation |
곡의 중간에 조가 변화하는 것을 말함. |
모디냐 |
|
Modinha |
포르투갈에서 생겨나서 지금은 주로 브라질에서 불려지는 노래. |
모렌도 |
|
morendo |
사라지듯이. |
모르덴트 |
|
mordent |
악보에 적혀진 음표에서 2도 아래 음으로 구사하는 장식기법. 악보에 적힌 음이 c라면 c-b-c-n-c 로 연주됨. |
모소 |
|
mosso |
활기 있게, 생동감 있게 |
모음곡 |
|
Suite |
16세기 중반부터 여러개의 춤곡을 한데 묶은 형태의 악곡이 Suite(스위트)란 이름으로 등장했는데 그 후 여러개의 기악곡, 성악곡 등을 모아 놓은 Suite들도 나타남. |
모차르트, |
![]() |
Mozart, |
오스트리아의 고전주의 작곡가. 클래식 역사상 최고의 음악 신동이자 바흐, 베토벤 등과 더불어 가장 뛰어난 음악적 업적을 이룩한 작곡가. 그의 수많은 오페라, 교향곡, 협주곡 등은 오늘날까지 가장 많이 연주되는 걸작들임. |
모테트 |
|
motet |
(1)교회 합창곡. |
모티프, |
|
motif, |
동기, 곡 전체 혹은 부분을 통일시키는 요소로 나타나는 짧은 음절. 흔히 주제안에 포함되어 있음. |
목관악기 |
![]() |
Woodwind |
목관악기는 관악기 중 금관악기를 제외한 모든 관악기를 총칭함. 금관과 목관의 구분은 악기의 재질과는 상관이 없으며, 소리를 내는 방식에 의해 구분됨. 금관은 입술의 떨림에 의해 소리를 내는데 반해 목관은 주로 리드(떨림판)의 떨림으로 소리가 나는 것임. 대표적인 목관악기는 피콜로, 오보에, 플루트, 클라리넷, 바순, 색소폰 등임. 단, 피콜로, 플루트, 레코더, 오카리나 등은 리드가 없음에도 목관악기로 분류됨. |
몰 |
|
moll |
단조.(독일어) |
몰토 |
|
molto |
매우. 대단히. |
못갖춘 마디 |
![]() |
Incomplete |
박자표대로 박수가 갖추어지지 않은 마디이며, 여린 박으로 시작되므로 여린내기라 한다. 악곡의 첫째 마디와 끝 마디의 박자 수를 합하면 갖춘마디가 된다. |
무브먼트 |
|
movement |
악장. 소나타, 교향곡 등을 구성하는 비교적 독립된 부분 |
무소르그스키 |
![]() |
Mussorgsky, |
러시아 출신의 국민주의 작곡가 5인조의 한 사람. '류릭' 왕가의 후손으로 위병장교가 되었다가 거의 독학으로 작곡가가 됨. 매우 독창적이고 러시아 민속적인 음악을 작곡해 '드뷔시' 등 인상주의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침.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 피아노곡 '전람회의 그림,, 관현악곡 '민둥산의 하룻밤' 등의 걸작을 남겼음. |
무언가 |
![]() |
Lieder |
가사가 없는 노래라는 뜻으로, 가곡과 같은 선율과 양식으로 된 기악 소품. 가사만 붙이면 그대로 노래가 될 수 있는 악곡으로 멘델스존에게서 처음 시작된 악곡 형식임. |
무지카 |
|
musica |
(1) theater music (극장음악). (2) incidental music (부수음악). |
무지카 |
|
musica sacra |
(1) church music(교회 음악) (2) religious music (종교 음악). |
무지카 픽타 |
|
musica ficta |
10-16세기의 음악에 있어서 반음계적 변화음. |
무직비센샤프트 |
|
Musikwissenschaft |
음악학 (musicology)에 해당하는 독일어 |
무한선율 |
|
Unendliche |
리드적, 화성적인 단락감이나 종결감을 갖지 않는 자유로운 선율. 바그너 음악에서 단락감 없는 가창선율을 지칭함. 바그너는 종합예술로서의 '악극'을 성취하기 위해 종래의 오페라와는 달리 단락감에 의한 극의 진행을 방해받지 않기 위해 무한선율 기법을 사용했음. 따라서 바그너 악극에서는 창법도 아리아보다는 레치타티보에 가까움. |
뮈제트 |
![]() |
Musette |
(1) 17, 18세기의 프랑스 백파이프. |
뮈지크 |
|
Musique |
전위음악. 원래 '아방가르드' 란 프랑스 군대용어로 최전방에서 싸우는 정예부대를 가리킴. 음악에서는 전통이나 관습을 부정한 새로운 사상이나 기법에 바탕을 둔 음악형식을 지칭함. 그러나 보통은 시대의 최첨단을 걷는 음악이라는 뜻으로 쓰임. |
뮈지크 |
|
Musique |
구체음악. 여러소리들 (소음, 말소리, 타악기소리 등)을 녹음하고, 이를 전자음향기로 가공, 구성하여 녹음 테이프에 고정시킨 음악. 1948년 '피에르 쉐페르'에 의해 시작. |
뮤지칼 코메디 |
|
Musical Comedy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과 미국에서 유행하던 가벼운 공연. 오페레타(operetta)와 비슷함. |
뮤지컬 |
![]() |
Musical |
19세기 후반 오페레타 등 음악극 형식을 답습, 20세기 초부터 미국 브로드웨이를 중심으로 발달한 대중 음악극. |
뮤지콜로지 |
|
Musicology |
음악학 |
뮤직 |
|
music appreciation |
음악 감상. 음악을 듣는 것은 일종의 가치 판단이므로 음악적 훈련을 거쳐서 음악을 듣는 지적능력을 함양하는 것. |
뮤직 드라마 |
|
music drama |
음악 극. 바그너가 자신의 오페라 '로엔그린Lohengrin'에 붙인 용어. |
뮤직 쎄라피 |
|
music therapy |
음악요법 |
뮤직 페스티벌 |
|
Music Festival |
음악제. 어떤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어떤 일정한 기간에 개최되는 음악의 제전적 행사. 1724년 영국의 그로스터 등 세 곳에서 열린 '합창제'에서 비롯. |
미뉴에트 |
|
Minuette |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17~18세기 유럽에서 유행한 춤 또는 춤곡. 두 사람이 추는 사교춤곡으로 3/4박자의 리듬을 가진 클래식 음악의 한 형식을 지칭하기도 한다. |

'음악의 기초 > 음악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이 있는 음악용어 사전 - (사)로 시작하는 용어 모음 (0) | 2020.09.24 |
---|---|
그림이 있는 음악용어 사전 - (바)로 시작하는 용어 모음 (0) | 2020.07.01 |
그림이 있는 음악용어 사전 - (라)로 시작하는 용어 모음 (0) | 2020.06.13 |
그림이 있는 음악용어 사전 - (다)로 시작하는 용어 모음 (0) | 2020.06.10 |
그림이 있는 음악용어 사전 - (나)로 시작하는 용어 모음 (0) | 2020.06.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계명
- 평균율
- 음악기초
- 이선희
- 나훈아
- 음악용어사전
- 조용필
- 계명악보
- 이문세
- 양희은
- 하모니카기초
- 크로매틱하모니카
- 녹턴
- 바흐음악
- 하모니카
- 하모니카배우기
- Seydel_Saxony
- 으뜸음
- 이소라
- 크로매틱
- 클래식감상
- 김동현
- 하모니카연주
- 오페라
- 하모니카계명악보
- Hohner_CX12
- 김광석
- Hohner_Super64
- hohner_cx12_jazz
- 김수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